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 2025, 최대 240만 원 받는 방법은?

서울시가 2025년에도 청년 1인 가구의 주거 부담 완화를 위해 월 최대 20만 원의 월세를 1년간 지원하는 ‘청년 월세 지원’ 정책을 시행합니다.

어떤 청년이 신청할 수 있나요?


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청년이라면 누구나 신청 가능합니다.
단, 무주택 1인 가구로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에 거주해야 하며, 보증금은 8천만 원
이하여야 합니다. 보증금 환산액과 월세를 합산한 금액이 93만 원 이하라면
예외적으로도 지원이 가능해 폭넓은 신청이 가능합니다.


2025년 지원 조건은 이렇게 정리됩니다

항목 기준

연령 1985.1.1.~2006.12.31. 출생자
거주지 서울시 주소지 등록
가구 유형 무주택 1인 가구
보증금 8천만 원 이하
월세 60만 원 이하 (또는 보증금 환산 포함 93만 원 이하)
소득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

무엇을 얼마나 지원해주나요?

최대 월 20만 원, 최장 12개월간 지원, 총 240만 원 한도입니다.
월세가 20만 원 미만이면 임대차계약서에 명시된 실 월세만큼 지원됩니다.
이미 서울형 주택바우처를 수령 중이라면, 중복 수령이 불가능하며 바우처 금액
차액만 지급됩니다. 생애 1회 지원만 가능하므로 신청 시기를 잘 판단해야 합니다.

구분 내용

최대 지원금 월 20만 원, 총 240만 원
지급 기간 선정 시점부터 12개월간
지급 방법 매달 계좌로 입금
중복 제한 서울형 주택바우처 중복 불가

신청은 언제, 어디서, 어떻게 하나요?

  • 신청기간: 2025년 6월 11일(수) 10:00 ~ 6월 24일(화) 18:00
  • 신청방법: 서울주거포털(housing.seoul.go.kr) 온라인 접수
  • 제출서류: 임대차계약서, 소득증빙서류 등
  • 문의처: 청년월세지원센터(1833-2030), 다산콜센터(120)

선정은 총 15,000명을 대상으로 하며, 소득 및 주거 조건이 낮은 순으로
우선 선정됩니다. 최종 선정자는 2025년 10월부터 매월 월세 지원금을 지급받습니다.


주의할 점과 활용 팁

  1. 생애 1회 지원이므로 월세 계약 초기, 자금이 부족할 때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  2. 쉐어하우스 거주자도 계약서가 각자 분리되어 있으면 각각 신청 가능합니다.
  3. 월세 상한(60만 원)을 초과하더라도 보증금 환산액 포함 기준(93만 원 이하)이면
    신청할 수 있어 조건에 부합하는지 꼼꼼히 계산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.

정책 만족도와 사회적 영향

2024년까지 약 11만 4천여 명의 청년이 이 지원을 받았으며,
정책 만족도 조사에서 94%가 긍정 응답을 보였습니다.
월세 지원은 자립 기반 마련, 저축 여력 확보, 정신적 안정에 크게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.


결론: 주거 걱정 덜고, 청년의 삶을 지지하는 정책

서울시 청년 월세 지원은 단순한 보조금이 아닌 실질적인 청년 주거 안정 수단입니다.
신청 조건만 충족한다면 꼭 도전해볼 만한 정책이며, 2025년 6월 24일까지의 접수 기간
놓치지 말고 신청을 완료하시길 바랍니다.